교과목소개
드론봇부사관과 교과목소개
드론봇부사관과 교과목소개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연번 | 이수구분 | 교과목 | 교과목 개요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국문 | 영문 | ||||
1 | 전필 | 한국사 | Korean History | 한국의 근현대사 개관 및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과정에서의 군의 역할 과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주변국의 역사왜곡 이해한다. | |
2 | 전선 | 군대윤리 | Military ethics | 군대예절과 군 제식동작을 숙달하고 행동화 하기 군 업무유지를 위해 군대에서 요구되는 윤리에 대한 지식 | |
3 | 전선 | 리더십 | Leadership | 부사관에게 요구되는 조직(부대) 관리능력에 필요한 리더십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. | |
4 | 전선 | 국가안보론 | National security theory | 국가안보와 전쟁의 개념, 안보위협과 대응방법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. | |
5 | 전선 | 군사영어 | Military English | 미래 부사관으로서 군사용어, 군사약어, 다양한 상황별 대화, 자기소개를 영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영어로 작성된 작전계획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| |
6 | 전선 | 교수법 | Military teaching | 교관(간부)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훈련방법의 원리와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제공함 | |
7 | 전선 | 체 육 | Military physical education | 미래 군 간부로서 완성된체력과 지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. | |
8 | 전선 | 전산학 | Computer science | 컴퓨터를 활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관리할 수 있다. 정보기술자격(ITQ)시험(A,B,C급)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. | |
9 | 전선 | 정보과학기술 |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| 소형무인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작 준비, 콘텐츠 제작 비행, 콘텐츠 제작결과 확인, 제작 콘텐츠 관리를 하는 능력이다. | |
10 | 전선 | 군사지리기상 | Geography | 기본적인 지형정보, 방향확인 및 지도판독, 보조기구 사용 등 정보체계와 관련된 기본지식의 조기습득을 통해 부사관으로 임관 후 임무를 원활히 수행하게 하는데 있다. | |
11 | 전선 | 응급조치 | First aids | 전장에서 응급처치에 관한 이론과 술기를 습득한다. | |
12 | 전선 | 군지적능력평가 | Military Intellectual Capacity Assessment | 미래 부사관에게 요구되는 언어, 수리, 공간 지각 이해 및 적용에 대한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. | |
13 | 전선 | 드론봇 개론 | Introduction to Dronebot | 드론봇 의 기본 개념과 소형무인기 관련법규파악하기, 소형무인기 비행원리 파악하기, 항공기상 파악하기, 무인항공시스템 파악하기 등으로 구성된다. | |
14 | 전필 | 드론봇 운용기초 | Drone Bot Operation | 드론봇 조정에 대한 기본개념으로 임무 분석하기, 환경정보 파악하기, 투입 인원 장비 선정하기, 투입 인원 장비 선정하기, 인허가 신청하기 학습 후 기본조종기술을 실습한다. | |
15 | 전선 | 드론봇 조종실습 | Dronebot Adjustment Practice | 드론봇 조종 자겨증 취득을 위하여 기본 비행을 준비하고 비행체 점검하기, 임무장비 점검하기, 작동 점검하기, 제원 파악하기, 조종 특성 파악하기후에 기본조종을 실습한다. | |
16 | 전선 | 드론봇 팬턴비행 | Dronebot Panton Flight | 소형무인기의 조종운용 기술인 이착륙 조종하기, 기동비행 조종하기, 비정상 비행대처하기, 패턴 비행하기 등을 시뮬레이션 실습한다. | |
17 | 전선 | 드론봇 운용실습 | DroneBot Operation Practice | 드론봇의 운용을 위하여 지상통제장비 준비하기, 비행 계획하기, 이착륙 비행하기 반자동비행하기, 자동경로 비행하기 들을 실습한다. | |
18 | 전선 | 드론봇 촬영실습 | Dronebot shooting practice | 드론봇을 이용하여 촬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장치 점검, 촬영계획 작성, 촬영비행, 촬영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이다. | |
19 | 전선 | 지상지원장비 | Ground Support Equipment | 드론봇의 지상장비의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상통제장비, 지원장비에 대해 결함 유무를 검사하고 통합 작동시험할 수 있다. | |
20 | 전선 | 항공영상정보 | Aerial Video Information | 전자광학카메라, Lidar 장비,적외선/자외선/스펙트럼 촬영장비 등을 사용하여 공간정보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촬영장치 점검,공간정보촬영계획 작성, 공간정보 촬영 비행, 공간정보 촬영정보 관리를 하는 능력이다. | |
21 | 전선 | 드론항공정비실습 | Drone Flight Maintenance | 드론봇 비행체 및 지상장비의 정상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상통제장비, 지원장비 그리고 비행체에 대해 결함 유무를 검사하고 작동시험 할 수 있다. | |
22 | 전선 | 드론봇 제작 실습과 창업 | Dronebot manufacturing practice and Start-up | 드론봇의 비행, 제어 원리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 요구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소형 멀티콥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제작하고 창업할 수 있도록 한다. | |
23 | 전선 | 항공전술무선장비 | Aircraft Tactical Radio Equipment | 항공드론 무선통신망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인 무선중계설비, 고정무선설비, 이동무선설비, 위성통신설비,무선통신설비 관련 기술 규격을 작성한다. | |
24 | 전선 | 항공전술유선장비 | Aircraft Tactical Wired Equipment | 항공드론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인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, 통신이론, 전원 관련 기술 규격을 작성한다. |